[광복 80년, K도약 리포트]교육 수준 향상돼
페이지 정보
담당자명 : sans339상호명 :
이메일 :
연락처 :
작성일25-08-11 12:37 조회7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쿠팡퀵플렉스
[광복 80년, K도약 리포트]교육 수준 향상돼급격한 경제·산업 성장세계 최상위권 대학은 없고 경쟁력 떨어져외국인재 못 끌어들이고 되레 유출 현실주입식 교육에 갇혀 연구 창의성 걸림돌"수익자 부담형 벗어나 국가 투자 필요"지난해 2월 2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과대학 교정이 학위 수여식에 참석한 졸업생들로 북적이고 있다. 하상윤 기자한글의 영향으로 문맹률이 1%대에 불과한 국가. 18~21세의 10명 중 7명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는 국가(e-나라지표 통계상 2024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74.9%).광복 이후 80년간 우리나라가 급격한 경제·산업 성장을 이룬 데는, 전반적인 교육 수준의 향상이 토대가 됐다. 익히기 쉬운 한글이 공용화되면서 문해의 문턱이 낮아졌고, 배움과 출세에 대한 국민적 열망도 교육 발전을 견인했다. 하지만 한국의 교육은 이제 한계점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대학진학률이 높고 '명문대' 집착이 심한 국가인데도, 국내 대학들의 세계적 위상은 떨어진다. 보편적인 교육 수준이 높아진 반면 대학 경쟁력은 떨어지는 모순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가가 대학 투자에 힘써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대학이수율 OECD 1위···해외 경쟁력 답보 상태올해 2월 24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학사모를 던지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우리나라의 학력 수준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2024)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청년층(만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7%로 OECD 국가 중 1위(2위 캐나다 66.88%, 3위 일본 65.47%)였다. 이는 고학력을 맹목적으로 지향하는 취업 시장 특성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 관계자는 한국일보에 "유럽 국가 등은 학력 수준과 관계없이 다양한 직군으로 취업이 가능한 반면, 우리나라는 일정 수준 이상 대학에 특정 전공 계열을 나와야 취업이 수월하다 보니 학력 경쟁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그래픽=이지원 기자대입 경쟁은 치열하지만 정작 국내 대학의 세계적 경쟁력은 떨어지는 추세다. 영국 대학평가기관 콰콰렐리 시몬즈(Quacquarelli Symonds)가 6월 18일 발표한 최신 세계 대학 순위에서 100위권 안에 진입한 우리나라 대학은 3곳(서울대 38위, 연세대 50위, 고려대 61위)에 불과했다. 전년 대비 2개 대학이 감소했다. 또 지난해 전체 1,500위권 내에 올랐던 국내 43개 대학[광복 80년, K도약 리포트]교육 수준 향상돼급격한 경제·산업 성장세계 최상위권 대학은 없고 경쟁력 떨어져외국인재 못 끌어들이고 되레 유출 현실주입식 교육에 갇혀 연구 창의성 걸림돌"수익자 부담형 벗어나 국가 투자 필요"지난해 2월 2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과대학 교정이 학위 수여식에 참석한 졸업생들로 북적이고 있다. 하상윤 기자한글의 영향으로 문맹률이 1%대에 불과한 국가. 18~21세의 10명 중 7명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는 국가(e-나라지표 통계상 2024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74.9%).광복 이후 80년간 우리나라가 급격한 경제·산업 성장을 이룬 데는, 전반적인 교육 수준의 향상이 토대가 됐다. 익히기 쉬운 한글이 공용화되면서 문해의 문턱이 낮아졌고, 배움과 출세에 대한 국민적 열망도 교육 발전을 견인했다. 하지만 한국의 교육은 이제 한계점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대학진학률이 높고 '명문대' 집착이 심한 국가인데도, 국내 대학들의 세계적 위상은 떨어진다. 보편적인 교육 수준이 높아진 반면 대학 경쟁력은 떨어지는 모순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가가 대학 투자에 힘써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대학이수율 OECD 1위···해외 경쟁력 답보 상태올해 2월 24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학사모를 던지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우리나라의 학력 수준은 세계에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2024)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청년층(만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7%로 OECD 국가 중 1위(2위 캐나다 66.88%, 3위 일본 65.47%)였다. 이는 고학력을 맹목적으로 지향하는 취업 시장 특성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고등교육연구소 관계자는 한국일보에 "유럽 국가 등은 학력 수준과 관계없이 다양한 직군으로 취업이 가능한 반면, 우리나라는 일정 수준 이상 대학에 특정 전공 계열을 나와야 취업이 수월하다 보니 학력 경쟁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그래픽=이지원 기자대입 경쟁은 치열하지만 정작 국내 대학의 세계적 경쟁력은 떨어지는 추세다. 영국 대학평가기관 콰콰렐리 시몬즈(Quacquarelli Symonds)가 6월 18일 발표한 최신 세계 대학 순위에서 100위권 안에 진입한 우리나라 대학
쿠팡퀵플렉스